-
목차
“시급 11,000원이면 괜찮은 거 아닌가요?”
“사장님이 ‘주휴 포함이니까 이 금액이 맞다’고 하셨어요.”
“계약서엔 없는데 그냥 그렇게 일했는데요…”
많은 시급 알바생이 이런 경험을 해봤을 거예요.
그리고 이 말이 괜찮은지 아닌지 헷갈려서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죠.
하지만 ‘시급에 주휴수당 포함’이라는 말에는 법적으로 반드시 지켜야 할 기준이 있습니다.
만약 그 기준을 지키지 않았다면, 명백한 ‘최저임금법 위반’이 될 수 있어요.
오늘 이 글에서는
‘주휴수당 포함 시급’이 어떤 의미인지, 실제로 가능한지,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
근로자와 고용주 모두가 실수하지 않기 위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.
✅ 주휴수당이 뭐였죠?
주휴수당은
“1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유급휴일 수당”이에요.
쉽게 말해,
성실하게 일하면 일 안 하는 날 하루치 시급도 더 받는다는 뜻!
2025년 기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라면
주휴수당을 반드시 지급해야 하고, 고용주가 포함 시급으로 지급할 수도 있습니다.
하지만… 조건을 지켜야죠.
✅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, 가능은 해요. 하지만?
‘포함’이라고 하면, 많은 분들이
“그럼 따로 안 줘도 되는 거야?”
하고 오해합니다.
그게 아니라,
시급에 주휴수당이 미리 녹아들어 있다는 의미인데,
그 총액이 실제로 최저임금법을 위반하지 않아야만 합법이에요.
고용노동부에서도 이렇게 말합니다:
“주휴수당 포함 시급이라고 하더라도
‘포함 금액’이 법적으로 보장된 수준 이상이어야 하며,
그렇지 않으면 ‘임금체불 및 최저임금 위반’으로 간주됩니다.”
✅ 2025년 최저임금 기준, ‘진짜 괜찮은’ 포함 시급은 얼마?
기준
- 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- 주휴수당 포함 조건: 주 15시간 이상 근무 + 개근
예시 조건
- 주 5일, 하루 4시간 (총 20시간 근무)
주휴수당 계산
- 주휴: 4시간 × 10,030원 = 40,120원
- 총 주급 = 20시간 × 10,030 + 40,120 = 240,720원
- 월 환산 (4.345주): 240,720 × 4.345 ≈ 1,045,929원
- 실 근무 시간: 20시간 × 4.345 = 87시간
- 역산 시급: 1,045,929 ÷ 87 = 약 12,020원
주휴수당이 뭔지 아직 모르시겠다면?
✅ 요약: 포함 시급이 합법이 되려면?
항목 기준 시급 최소 약 12,020원 이상이어야 합법 계약서 시급 + 주휴 포함 명시 필수 설명 구두로만 “포함입니다”는 불충분. 구체적 설명 필요 실지급액 주휴수당이 빠져 있으면 무조건 불법 ✅ 그럼 이런 경우는?
“시급 11,000원이에요, 주휴 포함이에요!"
→ 불법입니다. 실제 시급이 12,020원보다 낮으면
최저임금도 안 되고, 주휴수당도 미지급된 것이나 마찬가지예요.
✅ 실제 사례로 보는 문제 상황
사례 1
“알바 공고에 시급 11,000원이라고 해서 갔는데,
나중에 보니 주휴 포함이었다고 하더라고요.
그럼 사실상 9,100원 정도밖에 안 받은 거 아닌가요?”
→ 맞습니다. 이런 경우 최저임금 위반 + 주휴 미지급 모두 해당합니다.
사례 2
“계약서 없이 일했는데,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이라고 문자만 왔어요.
그런데 계산해보니 포함해도 기준 미달이에요.”
→ 이건 임금체불로 노동청 진정 가능합니다.
✅ 고용주가 자주 실수하는 포인트
- 주휴 포함 시급의 기준을 모른 채 금액만 제시
- 최저시급 + 주휴수당 = 12,020원임을 계산하지 않음
- 근로계약서에 ‘주휴 포함’ 문구 누락
- 단기 알바에도 무조건 포함시급 적용
- 시급 산정에 유급휴일을 반영하지 않고 정액급 지급
✅ 근로계약서에는 이렇게 적어야 합니다
“시급 12,020원 (2025년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 포함)"
“주 20시간 기준, 주휴수당은 시급에 포함되어 계산됩니다” 등
구체적인 조건을 명확히 명시해야 법적 문제가 없습니다.
✅ 자동 계산기로 내가 받는 시급 확인해보세요!
내가 받는 시급, 정말 괜찮은 금액인지 확인해보세요!
✅ 마무리 요약
- “주휴 포함 시급”이란, 주휴수당이 시급에 미리 들어간 형태
- 2025년 기준 합법적인 포함 시급은 12,020원 이상
- 계약서에 반드시 명시해야 하며, 그렇지 않으면 불법 소지 매우 큼
- 근로자와 고용주 모두 정확한 계산과 문서 작성이 필요
- 위반 시에는 임금체불 진정 가능
주휴수당이 뭔지 아직 모르시겠다면?
주휴수당이란? 지급 조건과 계산법 바로 보기'정보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💸 통장 사본? 은행 안 가도 1분이면 발급 가능! 통장 사본 인터넷 발급 완전 정복 (0) 2025.04.22 🌿 한강에서 결혼할 수 있다고? 서울 공공야외예식장 완전 정리 (0) 2025.04.21 주휴수당이란? 시급 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지급 조건과 계산법 (0) 2025.04.19 근로계약서 안 쓰고 일하면 어떻게 되나요? 시급 알바생 필수 노동법 (1) 2025.04.16 몰라서 못 받는 900만원?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 조건 총정리 (0) 2025.04.15